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10

by Hee Hee Hee 2024. 8. 7.
728x90
반응형
SMALL

[2] 연립주택

1. 연립주택의 장단점

1) 장점

-단독 주택보다 토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테라스 하우스의 경우 세대마다 전용의 뜰을 갖는다.

- 접지 성과 집합 형식에 따라 다양한 배치와 풍요로운 옥외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경사지, 소규모, 택지의 이용이 가능하다.

 

2) 단점

-벽체의 공유로 일조, 채광, 통풍에 불리하다.

-프라이버시 유지가 불리하다.

 

2. 연립주택의 형식

1) 테라스 하우스

-2호 이상의 주택이 수평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각호의 전용 뜰을 갖고 있는 형식의 연립 주택이다.

ㄱ. 평지형 테라스 하우스

-평지에 건립되는 테라스 하우스를 말한다.

 

ㄴ. 경사지 형 테라스 하우스

-경사지의 지형에 따라 계단 모양의 단면 형식으로 건립되는 테라스 하우스를 말한다.

-타 가구의 지붕 위를 루프 테라스로 사용한다.

-대지의 경사도가 30도가 되면 윗집과 아랫집이 절반 정도 겹치게 되어 평지보다 2배의 밀도로 건축이 가능하다.

-테라스 하우스의 밀도는 대지의 경사도에 따라 좌우되며, 경사가 심할수록 밀도가 높아진다.

-상향식이든 하향식이든 경사지에서는 스플릿 레벨 구성이 가능하다.

-상향식 테라스 하우스는 가장 낮은 곳에는 차고를 두고 가장 높은 곳에는 정원을 둔다.

-하향식 테라스 하우스는 상층에 거실 등 주 생활 공간을 둔다.

-채광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세대의 깊이는 7.5m를 넘지 않도록 한다.

 

ㄷ. 준 접지 형 테라스 하우스

-상하에 서로 다른 세대의 가구가 중첩되어 있는 테라스 하우스이다.

-아래의 가구는 전용의 뜰을 갖고 있으나 위의 가구는 로프 데크, 발코니 등의 뜰의 기능을 갖는 스페이스를 가지며 출입구도 독자의 것을 갖고 있다.

 

2) 중정형 하우스

- 호마다 전용의 중정을 갖고 있는 형식으로서 아트리움 하우스라고도 한다.

-1가구의 단층형 주택(단, 내부 세대의 좋지 않은 채광을 극복하기 위해 일부 세대들을 2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으로, 주거 공간이 마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에워싸고 있다.

 

3) 타운 하우스

-테라스 하우스와 같이 호마다 전용의 뜰을 갖고 있는 형식으로서, 토지이용 및 건설비, 유지관리비의 효율성을 고려한 형식이다.

-공용의 뜰, 어린이 놀이터, 보도, 차도, 주차장 등의 열린 공간을 갖고 있는 형식의 연립주택을 말한다.

-일 층은 거실 등의 생활공간으로 계획되며, 이층은 침실 등 수면 공간이 배치되도록 계획된다.

4. 루하우스
-2개 이상의 단위 죽어가 외벽을 공유하고 단위 죽어 출입은 호를 거치지 않고 지면에서 직접 출입하며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저층 주거로 삼 층 이하이며 2층이 일반적이다.
-도시형 주택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연립주택의 형식이다
-토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형식이다
-경사의 이용이 가능한 형식이다.


[3] 노인 홈 계획
1. 노인 홈 배치 계획
-원예 등의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경사가 있는 대지가 좋다.
-편리한 대중교통 시설이 근처에 있어야 한다.
-시설의 진입 눈은 원만하고 평탄하게 하여 접근과 출입이 쉽게 한다.
-도시형의 경우 주변에서 쾌적한 환경을 얻기 힘든 만큼 내부적으로 특별한 계획이 필요하다.
-노인 홈은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고독감을 느끼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각과 행동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노인이 소외되지 않고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조화롭게 생활을 영희 할 수 있도록 지역 사회와의 융합 성을 배치의 최우선적 고려 사항으로 하여야 한다.
-적절한 사회적 교류 활동을 할 기회와 장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 대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부문은 가급적 한 군데를 집약시킨다.

 

2. 평면 및 색채, 마감 계획
-안정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실내 색채 마감은 한 색 개월인 푸른색 계열보다 난색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노인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공간을 장식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한다.
-시설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가정적인 분위기로 계획하여 친밀성을 높인다.
-침실 창은 침실 바닥 면적의 칠 분의 일 이상으로 하고 직접 바깥공기의 접하도록 하며 개폐가 가능하여야 한다.
-목욕실의 급탕을 자동 온도 조절 장치로 하는 경우에는 물의 최고 온도가 40°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침실의 면적은 입소자 1인당 6.6m² 이상이어야 하며 합숙용 침실의 정원은 인 이하여야 한다.
-화장실에 욕조를 설치 하는 경우에는 욕조에 노인의 전신이 잠기지 않는 깊이로 한다.
-발코니의 경우 바닥 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로 계획한다.
-발코니는 비상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 및 취미 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노인복지시설 주 거부 거실 동 배치 계획별 특징
1. 단 복도형
-전체 면적 과실 면적의 비율에 있어서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효율적이다.
2. 이중 복도형
-복도 공간을 이용한 순환적 걷기 유형이 가능하다.
3. 삼각 복도형
-거실을 외부에 면하게 하고 관리 공간을 중앙에 두는 형태로써 유니스 확장이 어렵고 십자 복도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시가 난해하다.
4. POD 형
-유사 필요성이 있는 거주자 실 간 친밀도를 높여 준다.


{[3]} 단지 계획
[1] 커뮤니티
1. 의미
-주택지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 주택지를 지역적으로 통합시켜 발전시키려는 사고방식의 근린 추구 개념이며 이를 커뮤니티라 한다.

2. 커뮤니티 센터
-인간의 정신적 결합과 유대 관계를 김미리 하기 위한 공동 시설의 체제이며 이처럼 공동생활에 필요한 시설이 형성된 군을 말한다.

3. 공동 시설
-1차 공동 시설 : 기본적 주거 시설, 급 배수, 급탕 등
-이차 공동 시설 : 거주 행위의 일부를 공유하여 합리화와 생활 수준 향상을 추구
-삼차 공동 시설 : 관리 시설 등과 같은 집단생활의 기능 촉진
-4차 공동 시설 : 우체국과 학교 등과 같은 공공시설

*근린 지구
-주거단지 구성을 근린 지구까지 확대하여 해석할 수 있다.

*주거 단지 구성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근린주구는 도시 계획의 종합 계획에 따른 최소 단위가 된다.

 

 

 

 

자료 : 건축계획 및 건축사 해커스 공무원 이석훈 건축계획 기본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