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세부 계획
1. 현관
1) 현관의 위치를 결정하는 조건
ㄱ. 도로의 위치
ㄴ. 건축 및 대지의 형태
ㄷ. 대문의 위치
2) 형태
ㄱ. 건축물의 중심적 위치에 있어야 하며 방문객이 찾기 쉽게 표출적 공간의 형태로 만들어 준다.
ㄴ. 현관의 형식은 포치 형식으로 한다.
ㄷ. 현관의 위치는 방위각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ㄹ. 현관 바닥과 홀의 단 높이는 9~21cm 정도로 한다.
2. 복도
1) 크기
ㄱ. 폭 : 최소 90cm, 적정값은 105~120cm이다.
ㄴ. 넓이 : 전체 면적의 10%에 해당하는 넓이로 한다.
2) 기능
ㄱ. 주택 내부의 통로 역할을 하는 동선 공간이다.
ㄴ. 복도가 응접실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복도의 폭이 1.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ㄷ. 어린이의 놀이터 공간과 응접실의 역할이 가능하다.
3. 계단
1) 배치 시 유의 사항
ㄱ. 주택에서의 계단은 공용면적이므로, 가능한 한 작게 계획되는 것이 좋다.
ㄴ. 계단을 거실에 설치하는 경우 열 손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ㄷ. 현관이나 홀에 근접하여 식사실이나 욕실, 화장실에 가까운 위치가 적합하다.
4. 거실
1) 크기
ㄱ. 연면적의 약 20~30% 정도로 한다.
ㄴ. 1인당 거실 크기 : 4~6㎡로 한다.
ㄷ. 거실의 천장 높이 : 2.1m 이상으로 한다.
2) 기능
ㄱ. 거실의 실내 평균적인 온도는 18도가 좋으며 습도는 40~60도가 적당하다
ㄴ. 거실은 일상생활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서 가족 모임의 장소로 사용하여야 한다.
ㄷ. 주부의 가사노동 공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ㄹ. 소 주택인 경우에는 생활 부엌의 형태가 좋다.
ㅁ. 거실은 복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
ㅂ. 거실은 활동성을 고려한 동적 공간으로 계획한다.
3) 거실 평면계획 시 고려 사항
ㄱ. 거실과 정원은 시각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유동적인 감각을 갖게 한다.
ㄴ. 거실은 가능한 한 동측이나 남측에 배치하여 일조 및 채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ㄷ. 거실에서 문이 열린 침실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ㄹ. 거실이 다른 공간들을 연결하는 단순한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서는 안 된다.
ㅁ. 주택의 거실은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한쪽 벽만을 타실과 접속시킴으로써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ㅂ. 거실에서 출입이 잦은 부엌, 식당, 화장실과 가깝게 배치하여 동선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ㅅ. 거실에서 각 실의 출입은 직접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타실을 통하여 출입할 수 없도록 한다.
ㅇ. 거실의 4면 중의 3면은 외기에 접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ㅈ. 거실과 침실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설치하며 서로 마주 보고 침실의 출입구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5. 식사실(식당)
1) 위치
-일반적으로 100㎡ 내외의 주택에서는 거실과 겸하거나 부엌과 겸하여 위치되어 진다.
2) 면적
ㄱ. 가족 수와 식탁의 크기 및 배치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3) 분류
ㄱ. 분리형 : 거실이나 부엌과 완전히 독립된 식사실이다.
ㄴ. 개방형( 통합형, 가사 노동 경감이 목적)
-생활 부엌 : 거실, 식사실, 부엌을 겸용한 것
-정찬 부엌 : 부엌의 일부에 간단히 식탁을 꾸며 놓은 것
-정찬 알코르 : 거실의 일부에 간단히 식탁을 꾸며 놓은 것
-생활 정찬 : 거실 내에 커튼이나 스크린으로 칸막이가 설치된 식사실
-정찬 포치, 정찬 테라스 : 여름철 등 좋은 날씨에 테라스나 포치에서 식사하는 것
-부엌 플레이 방 : 부엌에서 작업을 하면서 어린이를 돌볼 수 있는 공간
4) 소형 식사실의 경우에는 부엌을 직결하는 것이 좋으며, 대형일 경우에는 배선실을 중간에 두어 해 치나 출입문을 통해서 음식을 공급한다.
6. 부엌
1) 크기
ㄱ. 주택 연면적의 8~12%
-소규모 주택 : 주택 면적의 약 10% 내외
-대규모 주택 : 주택 면적의 약 7% 내외
ㄴ. 부엌의 크기를 결정하는 조건
-작업대(개수대, 준비 조리대, 레인지, 배선대 등)의 면적
-가사 노동자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식기, 식품, 조리용 기구의 수납에 필요한 공간
-연료의 종류와 공급 방법
-주택의 연면적, 가족 수 및 평균 가사 노동자 수
2) 부엌 계획 시 유의 사항
ㄱ. 부엌은 음식물을 다루는 곳이므로 일사 시간이 긴 서쪽은 반드시 피한다.
ㄴ. 부엌은 습기가 높은 곳이므로, 계획 시 습기 제거 가능 향 및 개구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ㄷ. 부엌 작업대의 높이는 73~83cm, 폭은 50~60cm 정도로 한다.
3) 부엌의 작업 순서
ㄱ. 부엌의 작업 순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ㄴ. 준비 > 냉장고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 배선대 > 해치 > 식탁
4) 부엌의 작업 삼각형(냉장고 - 개수대 - 가열대)
ㄱ. 삼각형 세 변의 길이의 합이 짧을수록 효과적인 배치이다.
ㄴ. 삼각형 세 변 길이의 합은 3.6~6.6m 사이가 적당하다.
ㄷ. 냉장고와 싱크대, 싱크대와 조리대 사이는 동선이 짧아야 한다.
5) 부엌의 유형에 따른 장단점
ㄱ. 직선형
-장점 : 몸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음.
-단점 : 동선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음
ㄴ. 병렬형
-장점 : 좁은 면적의 부엌에서 동선을 단축할 수 있음
-단점 : 몸을 돌려가며 작업을 해야 함
ㄷ. L자형
-장점 : 배차에 여유가 있고 능률적임
-단점 : 모서리 부분의 이용도가 낮음
ㄹ. U자형
-장점 : 수납공간을 넓게 둘 수 있음, 작업 공간이 넓음
-단점 : 위치 설정이 난해함
6) 부속 공간
ㄱ. 가사공간 : 주부의 가사노동 공간으로 동선을 짧게 하기 위하여 욕실과 부엌 사이에 둠, 내부만 연결하는 공간
ㄴ. 다용도실 : 잡품 창고를 겸한 곳으로써 발코니와 주방 사이에 둠
ㄷ. 배선실 : 식당과 부엌 사이의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으로서 식품, 식기 등을 저장
ㄹ. 옥외작업장 : 옥외작업장으로서 세탁장, 우물, 빨래 건조대, 장독대, 연료저장 창고 등을 둠
자료 : 건축계획 및 건축사 해커스 공무원 이석훈 건축계획 기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