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계획(공무원)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6

by Hee Hee Hee 2024. 8. 17.
728x90
반응형
SMALL
 

7. 화장실

1) 공용 부분 층에는 60m 이내마다 공동 화장실을 설치한다.
2) 종업원용 화장실은 따로 설치하여 고객과의 혼용을 피한다.
3) 공동용 변기 수는 25명당 1개이며, 대 : 소 : 여 = 2 : 4 : 2의 비율로 설치한다.

8. 종업원 관계 제실
1) 종업원 수
-대략 객실 수의 2.5배 정도로 한다.
2) 종업원 숙박일
-종업원 수의 1/3 정도가 숙박할 수 있는 남녀 숙박 싫을 만든다.
3) 서비스실
-숙박 층의 코어에 인접하여 간단한 음식, 침구 서비스, 청소 기능을 한다.
-규모에 따라 보이가 상주하는 보이실 이 마련되기도 한다.
4) 침구류 보관실
-숙박객을 위한 시트 베게. 의류 등을 넣어 두는 곳이다.
5) 트렁크 룸
-숙박객의 집을 보관하는 장소로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필요하다.

{[2]} 병원
1. 기본 계획
1. 대지 선정 시 고려 사항
1) 매연, 진 애, 소음, 진동 등의 공해가 적은 조용한 곳으로 한다
2) 환자가 도보로 1km 이내의 이용 가능한 거리여야 한다.
3) 충분한 수압과 양질의 급수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수가 잘되는 곳으로 한다.
4) 남향, 동향, 동서양으로 경사지고 전망 풍경이 양호한 곳으로 한다.

2. 병원 설계의 방침
1) 환자를 위주로 한 계획이 되어야 한다.
2) 새로운 관리 방식을 따른다.
3) 간호 업무가 능률적이어야 한다.
4) 각종 동선이 잘 처리되어야 한다.
5) 입원 환자의 병상수를 기준으로 병원 건축의 시설 규모를 결정한다.
6) 근대적인 의료 설비를 집약적으로 갖추고 충분히 이용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
7) 장래의 확장, 변경을 고려한다.
8) 방재 대책 및 피난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다.

3. 건축 형식의 분류
1) 분관식
ㄱ. 배치 형식
-전체 병원에서 기능이 다른 각 부분을 동별로 설치한 형식(평면 분산 형식이다.)
-일반적으로 저층(3층 이하)의 여러 동으로 구성된다.
ㄴ. 특성
-각 병실을 남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일조, 통풍 조건이 좋다(각 실의 채광을 균등히 할 수 있음).
-넓은 대지가 필요하므로 도시 지역에 불리하며 설비가 분산되고 보행 거리가 길다.
-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재난 시 환자의 피난이 용이하다.

2) 집중식
ㄱ. 배치 형식
-병원의 각 기능을 집약적으로 편성하여 한 동의 대규모 건물에 종합하는 방식이다.
ㄴ. 특성
-의료, 간호, 급식 등의 서비스가 원활하다.
-관리가 편하고 동선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설비 등의 시설비가 적게 든다(급탕, 난방 등의 배관이 짧음).
-일조, 통풍 등의 조건이 불리하며 각 병실의 환경이 균일하지 못하다.
-현대의 큰 도심지 병원은 주로 이 방식을 택한다.
-대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다.
-고층 집약 식 배치 형식을 갖는다.
-외래부터, 부속진료부는 저층부에, 병동은 고층부에 배치한다.
-환자의 이동은 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2. 평면 및 세부 계획
1. 평면계획 시 유의 사항
1) 각 부(병동부, 외래진료부, 중앙 부속진료부, 서비스부, 관리부) 간에 동선이 교차하지 않도록 계획한다.
2) 건물은 평면적으로 넓히는 것을 피하고 병동 부를 고층화하여 간호와 서비스를 능률적으로 한다.
3) 병원의 출입구 조건(종합병원의 경우)
-제1 출입구 : 외래부터 출입구로서 병원 전체의 주 출입구 역할
-제2 출입구 : -병동 부의 출입구로서 입원환자 및 방문객의 출입구 역할
-제3 출입구 : 구급차 및 사체의 출입구를 말하며, 가장 눈에 띄지 않도록 배려가 필요한 출입구
-제4 출입구 : 창고, 기계실, 세탁실, 취사장 등의 출입구로서 병원의 보급을 위한 출입구

2. 병동부터
1) 구성
-병실, 의사실, 간호사 대기실, 면회실, 숙직실 등으로 구성된다.

2) 간호 단위
ㄱ. 1 간호단위
-간호사 8~10명을 기준으로 한다.
-병상수는 25 bed가 이상적이며, 보통 30~40bed 정도로 한다.
ㄴ. 간호사 대기실
-각 간호단위 또는 층별, 동별로 설치한다.
-간호 작업에 편리한 계단, 엘리베이터에 가까운 곳으로 하며, 외부인의 출입도 감시할 수 있는 곳에 계획한다.
-간호사 대기실은 병실의 중앙에 설치하며, 간호사의 보행거리가 24m 이내가 되도록 한다.
ㄷ. 환자 증세에 따른 간호단위의 구분
-집중 간호 단위
-중간 간호단위
-자가 간호단위

3) 계획상의 중요 점
ㄱ. 병실의 출입문
-안여닫이로 하고 문지방은 두지 않는다
-출입문 폭은 안목치수 기준으로 1.1m 이상으로 한다.
-병실 출입구는 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이어야 한다.
-정신병동의 경우 문은 안여닫이로 하고 실내를 감시할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한다.
ㄴ. 병실의 천장은 환자의 시선이 늘 닿는 곳으로서, 반사율이 큰 마감 재료는 피하고, 적당한 조도를 갖도록 한다.
ㄷ. 창 면적은 바닥 면적의 1/3~1/4 정도가 되도록 한다.
ㄹ. 환자 머리 후면 부분에 개별 조명등 시설을 설치하고, 손이 닿는 위치에 호출용 벨을 계획한다.

5) 배전반 시스템
-천장에 닿지 않는 칸막이를 사용하여 충실을 몇 개의 단위로 나누어 침대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장단점
-장점 : 간호나 급식 서비스가 용이, 낮은 칸막이로 구성되기 때문에 실 전체가 개방감 있음, 북향 부분으로 침대를 배치하여도 실의 환경이 균등함
-단점 : 환자의 독립성이 떨어짐, 실내 공기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고 시끄러움

6) 복도 폭은 보통 2.1~2.4m 정도로 한다.

7) 병원의 환자용 계단에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는 최대 1/20 이하로 한다.

 

 

 

 

 

자료 :  건축계획 및 건축사 해커스 공무원 이석훈 건축계획 기본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