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계획(공무원)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8

by Hee Hee Hee 2024. 8. 19.
728x90
반응형
SMALL

2. 평면계획
1) 공간 건축의 레이아웃
ㄱ. 개념
-공장의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는 작업장 내의 기계설비, 작업자의 작업 구역, 자재나 제품을 두는 곳 등의 상호 위치 관계를 바탕으로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공장의 건축적 배치 및 평면 검토 시, 공장 구성 요소의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공장의 장래 확장 등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을 반영하여 레이아웃을 설정해야 한다.
-특히 중화학 공업 등 장치 공업은 레이아웃의 유연성이 크지 않으므로, 장래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ㄴ. 형식
ㄴ-1.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연속 작업 식)
특성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과 기계 기구류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형식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생산 단가가 저렴함
-공정 간에 시간적, 수량적 균형이 좋음
-생산성이 높고 공정시간이 단축됨
-사용자의 조건이 무시됨
-주문 생산 및 소량, 다종 생산이 무시됨
적용 대상
-장치공업(석유, 시멘트 공장), 가전제품, 자동차 조립 공장 등

ㄴ-2.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기계 설비 중심)
특성
-동일한 기계, 유사한 기능을 가진 것을 하나로 그룹화하는 형식
-다품종소량생산이 가능함
-생산성이 낮으며, 소량 생산이므로 생산 단가가 높음
적용 대상
-주문 생산품 공장
-다품종소량생산에 따른 예상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

ㄴ-3. 고정식 레이아웃
특성
-주가 되는 재료나 조립 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있고, 사람이나 기계가 이동하며 작업하는 방식
적용 대상
-선박, 건축과 같은 제품이 크고, 수가 적을 경우에 적합

ㄴ-4. 혼성 식 레이아웃
특성
-위의 방식이 조합된 형태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 +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 + 고정식 레이아웃

2) 공장 건축의 형식
ㄱ. 분관식(파빌리온 타입)
-공장의 신설 확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채광, 통풍, 환기 등이 양호하다.
-각 동의 공장 건설을 병행할 수 있어 조기 완공이 가능하다.
-대지의 형태가 부정형이거나 고저 차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건축의 구조 형식을 동별로 다르게 계획할 수 있다.
-공간 효율성이 집중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건축비가 많이 든다.

ㄴ. 집중식
-내부 시설 배치계획 시 탄력성이 있다.
-공간 효율성이 좋으며, 운반이 용이하고 흐름이 단순하다.
-건축비가 저렴하다.
-단층 건물로서, 일반 기계 조립 공장의 용도로 많이 계획되며, 평지붕 무창 공장에 적합하다.

3. 구조계획
1) 공장의 형태
ㄱ. 단층 공장 : 무거운 원료나 제품을 취급하는 공장에 적합하다.
-중층 공장 : 가벼운 원료나 제품을 취급하는 공장에 적합하다.
-단층, 중층 병용 공장 : 양조, 방적 공장 등에 적합하다.
-특수 구조의 공장 : 시멘트, 제분 공장 등에 적합하다.

2) 지붕 형식
ㄱ. 평지붕 : 중층 식 건물의 최상층에 주로 사용한다.
ㄴ. 뾰족지붕 : 직사광선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결점이 있다.
ㄷ. 솟은 지붕(솟을지붕)
-채광창의 경사에 따라 채광이 조절된다.
-상부 창의 개폐에 의하여 환기량도 조절될 수 있다.
-채광 및 자연환기에 적합한 형식이다.
-중기계 생산 공장에 적합하다.
ㄹ. 톱날지붕
-공장 특유의 지붕 형태이다.
-채광창을 북향으로 할 경우 종일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으며, 약한 광선을 받아들여 작업 능률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한다.
ㅁ. 샷엔 구조에 의한 지붕 : 기둥의 소요가 적은 장점이 있다.

3) 구조 형식
ㄱ. 목구조
-소규모 단층 공장에 적용한다.
-철골 사용 시 녹이 생길 우려가 있을 경우 적용한다.
ㄴ. 철근콘크리트 구조
-내화, 내풍, 내구적인 구조로서 비교적 경제적이다.
-중층 공장, 기밀형 공장에 적합하다.
ㄷ. 철골 구조 : 면적과 스팬이 클 경우에 이용된다.
ㄹ.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콘크리트 구조보다 스팬과 층수를 늘릴 수 있다.
-재료 및 시공상 고가이다.
ㅁ. PS 콘크리트 구조 :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스팬을 15m 이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ㅂ.  구조 : 장 스팬이 가능하며 증기 배출 공장에서는 결로 대책을 세워 사용하여야 한다.

4. 환경 및 설비 계획
1) 채광과 조명
ㄱ. 자연채광
-가급적 창을 크게 계획한다.
-광선을 부드럽게 확산시키기 위해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를 사용한다.
-빛을 반사에 대한 벽 및 채색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동일 패턴의 창을 반복하여 입면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주간에는 가급적 자연채광을 최대한 유입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ㄴ. 인공조명
-일반 조명(전반 조명) : 실내 공간을 균일하게 조명한다.
-국부 일반 조명 : 실내 공간의 각 부분을 균일하게 조명한다.
-국부 조명 : 기계나 특수한 부분을 캐는 것으로 정밀한 작업에 필요하다.
-광원은 직공의 왼쪽 62cm 이내에 두는 것이 좋다.

2) 환기 및 냉난방 설비
ㄱ. 환기 설비
-일반적으로 1시간에 6~7회 정도의 환기를 실시한다.
-자연환기 및 기계환기를 적절히 조화시켜 계획한다.
-배기구는 사람 호흡성 밑에, 취 출구는 사람 호흡성 위에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ㄴ. 냉난방 설비
-천 전 높이 및 규모에 따라 적정 냉난방 설비를 계획한다.
-설비의 조건 및 작업 환경에 따라 중앙식과 유닛 식 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3) 소음 방지 계획
-소음원을 제거한다.
-소음 차단 방법 : 소음원을 차음재, 흡음재로 피복하여 차단한다.
-소음 저하 방법 : 실내의 벽, 천장에 흡음재를 사용한다.

4) 색치 및 의장 계획
-작업 환경, 피로 경감, 작업 능률 등을 종합 고려하여 계획한다.

 

 

 

 

자료 : 건축계획 및 건축사 해커스 공무원 이석훈 건축계획 기본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