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ㄷ. 중앙 진료부
1) 구성
-수술실, X선과 물리치료실, 검사실, 분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계획상의 중요 점
- 수술실, 물리치료실, 분만실 등은 통과 동선이 가급적 없도록 계획한다.
-중앙 진료부의 위치는 외래 부와 병동부터 사이에 계호기하여 양쪼깅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병동부터 및 응급 부에서 환자 수송이 용이한 곳에 둔다.
3) 수술실
1) 위치
-타 부분의 통과 교통이 없는 장소로서, 격리된 위치에 계획한다.
-매연, 먼지, 소음 등의 영향이 없는 곳으로 한다.
-중앙 소독 공급 부와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접근된 부분으로 한다.
-병동 및 응급 부에서 환자 수송이 용이한 곳으로 한다.
-수술실은 외래와 병동 중간에 위치시킨다.
2) 병상당 필요 개소 및 크기
-100병상당 2개소가 필요하다.
3) 출입구
-쌍여닫이로 1.5m 전후의 폭으로 한다.
-손잡이는 팔꿈치 조작 식으로 한다.
4) 채광 및 조명
-방위와는 전혀 무관하고 인공조명으로 목표 조도를 계획한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일정한 밝기로 조명한다.
-안과 수술은 안마가 장치가 필요하다.
5) 열 환경 및 공기 환경
-실온은 약 26.6도, 습도는 약 55%를 유지한다.
-공조 시 공기는 재순환시키지 않는다.
-공기 조화는 다른 병실과는 별도 계통으로 하여 수술실만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며, 감염 방지를 위해 수술실의 공기를 재순환 시켜서는 안 된다.
6) 벽 및 바닥
-벽은 녹색 계열의 타일로 한다.
-바닥은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기도 본상의 타일을 사용한다.
-수술실에서의 콘센트의 위치는 벽면 바닥에서 1.5m 위치에 설치한다.
4. 외래진료부
1) 구성
-외과, 내과, 이비인후과, 치과, 안과 등 각 과의 진료실로 구성되어 있다.
2) 진료 방식의 분류
ㄱ. 오픈 시스템
-종합병원 근처의 일반 개업 의사는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형태이다.
-개인 의사가 갖추기 힘든 각종 큰 병원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 환자의 진찰 치료를 큰 병원 진찰실에서 예약한 날짜와 장소에서 행하며, 입원도 시킬 수 있는 진료방식이다.
ㄴ. 클로즈드 시스템
-우리나라 대부분의 종합병원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규모의 각 과를 설치하여 환자가 병원에 출입하는 형식이다.
-외과 계통의 각 과는 1실에서 다수의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 형태로 계획한다.
-외래진료부의 위치는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중앙 주사실, 회계 등은 정면 출입구 근처에 설치한다.
-전체 병원에 대한 외래 부의 면적 비율은 10~15% 정도로 한다.
-클로즈드 시스템을 계획 시 부속진료실을 인접하게 배치한다.
ㄷ. 계획상의 중요 점
-외래진료부의 외래 환자 수는 병상수의 2~3배 정도로 한다.
-접수, 회계, 중앙 주사실 등은 정면 출입구 근처에 둔다.
-내과 계통은 진료 검사의 시간이 걸리므로 소 진료실을 다수 설치한다.
-외과 계통의 각 과는 1실에서 여러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로 한다.
ㄹ. 실의 깊이
-이비인후과, 치과 : 4.5m 정도로 한다.
-기타 일반 땅세 시설 : 5.5m 정도로 하고, 천장은 약 2.7m 높이로 계획한다.
ㅁ. 과별 계획
-내과 : 환자가 탈의하므로 충분한 난방이 필요함, 진찰실, 검사실, 치료실이 필요함
-소아청소년과 : 부모가 동행하므로 충분한 넓이가 필요함, 시끄럽기 쉬우므로 정숙을 해야 하는 부분과 거리를 둠
-외과 : 환자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1층에 설치함, 진찰실과 처치실이 필요함
-정형외과 : 보행이 부자연스러운 환자가 많으므로 1층에 계획함, 보행이 편리한 곳에 두고, 미끄러질 염려가 있는 바닥 마무리와 경사로를 피함
-산부인과 : 내진실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튼이나 간벽으로 차단함, 간단한 수술을 위한 회복실을 설치함
-피부과 / 비뇨기과 : 진찰실과 처치실을 각각 설치함
-이비인후과 : 남쪽 광선을 차단하고, 북측 채광을 함, 소수술 후 회복할 수 있는 침대를 설치함, 청력 검사용 방음실을 둠
-안과 : 시력 검사를 위해 5m 폭 이상을 확보함
-치과 : 진료실은 북쪽으로 계획함, 진료실, 기공실, 회복실을 설치함
{[1]} 공장, 창고
[1] 공장
1. 기본계획
1) 대지 선정 시 고려 사항
ㄱ. 제도적, 사회적 측면
-국토계획 및 도시 계획상에 제약이 없고 적합해야 한다.
-유사 공장과의 연계 효과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ㄴ. 토지 환경적 측면
-정지비가 적게 드는 지형이어야 한다.
-지반이 견고하고 습윤하지 않으며 급 배수가 원활해야 한다.
-잔재 및 폐수의 처리가 용이해야 한다.
-작업상 기후 풍토가 적당해야 한다.
ㄷ. 교통, 원료, 노동력, 동원력 측면
-교통이 편리해야 한다.
-원료 및 재료의 공급이 용이해야 한다.
-노동력의 공급이 원활해야 한다.
-동력원의 이용이 손쉬워야 한다.
2) 작업장의 배치 계획
ㄱ. 동선 고려
-원료 및 제품을 운반하는 방법,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다.
-견학자 등 방문자의 동선을 고려한다.
ㄴ. 구획화 설정
-생산, 관리, 연구, 후생 등의 부분별 시설을 명쾌하게 분리하고,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동력의 종류에 따라 배치한다.
ㄷ. 중요도 반영
-대규모 공장에 여러 종류의 작업이 포함될 경우 가장 중요한 작업에 대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배치한다.
ㄹ. 확장성 고려
-장래 확장 계획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ㅁ. 평면은 가능한 요철이 없는 형이 바람직하다.
1) 구성
-수술실, X선과 물리치료실, 검사실, 분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계획상의 중요 점
- 수술실, 물리치료실, 분만실 등은 통과 동선이 가급적 없도록 계획한다.
-중앙 진료부의 위치는 외래 부와 병동부터 사이에 계호기하여 양쪼깅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병동부터 및 응급 부에서 환자 수송이 용이한 곳에 둔다.
3) 수술실
1) 위치
-타 부분의 통과 교통이 없는 장소로서, 격리된 위치에 계획한다.
-매연, 먼지, 소음 등의 영향이 없는 곳으로 한다.
-중앙 소독 공급 부와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접근된 부분으로 한다.
-병동 및 응급 부에서 환자 수송이 용이한 곳으로 한다.
-수술실은 외래와 병동 중간에 위치시킨다.
2) 병상당 필요 개소 및 크기
-100병상당 2개소가 필요하다.
3) 출입구
-쌍여닫이로 1.5m 전후의 폭으로 한다.
-손잡이는 팔꿈치 조작 식으로 한다.
4) 채광 및 조명
-방위와는 전혀 무관하고 인공조명으로 목표 조도를 계획한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일정한 밝기로 조명한다.
-안과 수술은 안마가 장치가 필요하다.
5) 열 환경 및 공기 환경
-실온은 약 26.6도, 습도는 약 55%를 유지한다.
-공조 시 공기는 재순환시키지 않는다.
-공기 조화는 다른 병실과는 별도 계통으로 하여 수술실만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며, 감염 방지를 위해 수술실의 공기를 재순환 시켜서는 안 된다.
6) 벽 및 바닥
-벽은 녹색 계열의 타일로 한다.
-바닥은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기도 본상의 타일을 사용한다.
-수술실에서의 콘센트의 위치는 벽면 바닥에서 1.5m 위치에 설치한다.
4. 외래진료부
1) 구성
-외과, 내과, 이비인후과, 치과, 안과 등 각 과의 진료실로 구성되어 있다.
2) 진료 방식의 분류
ㄱ. 오픈 시스템
-종합병원 근처의 일반 개업 의사는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형태이다.
-개인 의사가 갖추기 힘든 각종 큰 병원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 환자의 진찰 치료를 큰 병원 진찰실에서 예약한 날짜와 장소에서 행하며, 입원도 시킬 수 있는 진료방식이다.
ㄴ. 클로즈드 시스템
-우리나라 대부분의 종합병원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규모의 각 과를 설치하여 환자가 병원에 출입하는 형식이다.
-외과 계통의 각 과는 1실에서 다수의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 형태로 계획한다.
-외래진료부의 위치는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중앙 주사실, 회계 등은 정면 출입구 근처에 설치한다.
-전체 병원에 대한 외래 부의 면적 비율은 10~15% 정도로 한다.
-클로즈드 시스템을 계획 시 부속진료실을 인접하게 배치한다.
ㄷ. 계획상의 중요 점
-외래진료부의 외래 환자 수는 병상수의 2~3배 정도로 한다.
-접수, 회계, 중앙 주사실 등은 정면 출입구 근처에 둔다.
-내과 계통은 진료 검사의 시간이 걸리므로 소 진료실을 다수 설치한다.
-외과 계통의 각 과는 1실에서 여러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로 한다.
ㄹ. 실의 깊이
-이비인후과, 치과 : 4.5m 정도로 한다.
-기타 일반 땅세 시설 : 5.5m 정도로 하고, 천장은 약 2.7m 높이로 계획한다.
ㅁ. 과별 계획
-내과 : 환자가 탈의하므로 충분한 난방이 필요함, 진찰실, 검사실, 치료실이 필요함
-소아청소년과 : 부모가 동행하므로 충분한 넓이가 필요함, 시끄럽기 쉬우므로 정숙을 해야 하는 부분과 거리를 둠
-외과 : 환자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1층에 설치함, 진찰실과 처치실이 필요함
-정형외과 : 보행이 부자연스러운 환자가 많으므로 1층에 계획함, 보행이 편리한 곳에 두고, 미끄러질 염려가 있는 바닥 마무리와 경사로를 피함
-산부인과 : 내진실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튼이나 간벽으로 차단함, 간단한 수술을 위한 회복실을 설치함
-피부과 / 비뇨기과 : 진찰실과 처치실을 각각 설치함
-이비인후과 : 남쪽 광선을 차단하고, 북측 채광을 함, 소수술 후 회복할 수 있는 침대를 설치함, 청력 검사용 방음실을 둠
-안과 : 시력 검사를 위해 5m 폭 이상을 확보함
-치과 : 진료실은 북쪽으로 계획함, 진료실, 기공실, 회복실을 설치함
{[1]} 공장, 창고
[1] 공장
1. 기본계획
1) 대지 선정 시 고려 사항
ㄱ. 제도적, 사회적 측면
-국토계획 및 도시 계획상에 제약이 없고 적합해야 한다.
-유사 공장과의 연계 효과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ㄴ. 토지 환경적 측면
-정지비가 적게 드는 지형이어야 한다.
-지반이 견고하고 습윤하지 않으며 급 배수가 원활해야 한다.
-잔재 및 폐수의 처리가 용이해야 한다.
-작업상 기후 풍토가 적당해야 한다.
ㄷ. 교통, 원료, 노동력, 동원력 측면
-교통이 편리해야 한다.
-원료 및 재료의 공급이 용이해야 한다.
-노동력의 공급이 원활해야 한다.
-동력원의 이용이 손쉬워야 한다.
2) 작업장의 배치 계획
ㄱ. 동선 고려
-원료 및 제품을 운반하는 방법, 작업 동선 등을 고려한다.
-견학자 등 방문자의 동선을 고려한다.
ㄴ. 구획화 설정
-생산, 관리, 연구, 후생 등의 부분별 시설을 명쾌하게 분리하고,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동력의 종류에 따라 배치한다.
ㄷ. 중요도 반영
-대규모 공장에 여러 종류의 작업이 포함될 경우 가장 중요한 작업에 대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배치한다.
ㄹ. 확장성 고려
-장래 확장 계획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ㅁ. 평면은 가능한 요철이 없는 형이 바람직하다.
자료 : 건축계획 및 건축사 해커스 공무원 이석훈 건축계획 기본서
728x90
반응형
LIST
'건축 계획(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8 (0) | 2024.08.19 |
---|---|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6 (0) | 2024.08.17 |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5 (0) | 2024.08.16 |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4 (0) | 2024.08.15 |
건축직 공무원 준비_건축계획 23 (0) | 2024.08.14 |